당시 GPT-2는 단순한 연구 모델이 아니라, "AI가 글을 생성하는 능력"을 실질적으로 보여준 첫 사례
🚀 Weekly Insight : OpenAI의 투자 유치 전략, 스타트업이 배울 점
🚀 GX세션 : 성공할 사람들은 세상에 다르게 반응합니다. (동영상)
🚀 Weekly Topic : K-Space Open Innovation with CONTEC × ispace 참가기업 모집 외
|
|
|
본 내용은 알토란벤처스의 CEO를 위한 GX세션 내용 중 일부를 요약한 내용입니다. |
|
|
OpenAI의 투자 유치 전략, 스타트업이 배울 점
|
|
|
OpenAI는 투자자로 부터 "세계 최고 AI 기술력, 산업 인프라 잠재력, 확장성 있는 BM, 전략적 파트너십, 비전"을 긍정적으로 평가받았으며, 투자자들은 OpenAI를 단순한 스타트업이 아니라, AI 산업의 ‘기반 인프라 기업’으로 보고 투자를 하였습니다. Open AI의 성장과정을 살펴보면서 투자자들이 왜 투자를 하였는 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
|
🚀 영리 기업으로의 전환과 투자 유치
OpenAI는 2015년에 비영리 연구소로 출범하였습니다. 비영리 연구소 였기에 외부로서의 투자는 받지 않았으며, 후원과 기부로 AI 연구활동을 이어 나갔습니다.
Microsoft가 OpenAI에 처음으로 대규모 투자(10억 달러)를 했던 시점은 2019년 7월입니다. 이 시점은 OpenAI의 조직 구조와 비즈니스 모델이 비영리에서 영리로 전환되는 전환기이자, 본격적인 AI 기술 상용화 전략의 출발점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참고로 Open AI가 2016년 부터 2019년 까지 발표한 서비스는 다음과 같습니다.
· 2016년 : 강화학습 실험용 오픈소스 플랫폼 OpenAI Gym (상업용 서비스 아님)
· 2018년 : 강화학습 알고리즘 레퍼런스 코드 OpenAI Baselines 배포
· 2019년 : 대형 언어 모델 GPT-2 발표 (처음에는 위험성 우려로 전체 버전이 아닌 제한된 버전만 공개)
이를 본 Microsoft가 자사의 서비스인 오피스, Bing 등에 적용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여 전략적 투자를 하게 된 것입니다.
|
|
|
🚀 영리기업으로 전환 후의 성과
Open AI는 영리기업으로의 전환과 Microsoft로부터의 투자 유치 이후 3개월 ~ 1년 단위로 새로운 서비스 및 기존 서비스의 업데이트를 내놓는 성과를 이루어 나갔습니다. 연도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2020.06 : OpenAI API (GPT-3 기반)
GPT-3을 기반으로 한 최초의 유료 API 출시하여, 개발자들이 상업적으로 활용 가능해짐
· 2021.01 : DALL·E 1, CLIP 발표
이미지 생성 AI DALL·E, 멀티모달 인식 모델 CLIP 공개 (연구 중심)
· 2021.07 : Codex / GitHub Copilot (with Microsoft)
GPT 기반의 코드 생성 AI, 이후 GitHub Copilot으로 상업화
· 2022.01 : Whisper
고성능 오픈소스 음성 인식 AI 모델
· 2022.11 : ChatGPT (Free)
OpenAI 최초의 대중용 대화형 AI 서비스 출시하고 폭발적인 성장을 하게 됩니다.
(2개월 만에 사용자 1억 명)
· 2023.02 : ChatGPT Plus
유료 구독 서비스 (월 $20), GPT-4 사용 가능 등 프리미엄 기능 제공
· 2023.03 : GPT-4 API
외부 개발자 대상 GPT-4 API 제공 시작
· 2023.07 : Code Interpreter (Advanced Data Analysis)
ChatGPT Plus 사용자 대상으로 데이터 분석, 파일 처리 등 지원
· 2023.11 : GPTs & GPT Store
누구나 커스텀 챗봇(GPT)을 만들고 공유/판매할 수 있는 플랫폼 출시
· 2024.05 : GPT-4o
"Omni" 모델. 텍스트, 음성, 이미지 통합 처리 가능한 멀티모달 AI 출시 (ChatGPT에 무료 제공됨)
· 2024.06 : Voice Mode (GPT-4o 확장)
GPT-4o를 기반으로 음성 대화 모드 출시 (실시간 대화, 감정 표현 등)
그 이후에도 기업용 ChatGPT 등을 출시하고 기존 서비스의 보안·관리 기능 강화하였으며, 개인 업무 전반을 지원하는AI Agent 기반 생산성 도구 (Copilot Workspace 등이메일 자동 처리, 문서 정리 도구) 에이전트형 AI 서비스 개발 중에 있습니다.
|
|
|
🚀 Open AI가 투자를 받은 시기
Opee AI가 영리 법인으로 전환하는 시기에 전략적으로 Microsoft로부터 투자를 받은 이후 부터 투자유치를 해왔습니다.
· 2019.07 : Corporate funding round $1B (Microsoft)
· 2022.01 : Series A round $250M
· 2023.01 : Corporate funding round $10B (Microsoft 및 일부 기존 투자자 중심)
· 2023.04 : Venture round $300M
· 2024.10 : Venture round $6.6B
· 2025.03 : Venture round $40B (SoftBank 주도, Microsoft 등 기존 투자자도 참여)
· 2025.08 : Venture round $8.3B
Open AI는 이상과 같이 천문학적인 규모의 투자금을 유치하였습니다.
|
|
|
🚀 투자를 부르는 성과
Open AI가 2019년 Microsoft로 부터 투자를 유치하기 전에는 2016년 8월에 시드 투자로 12만 달러(약 1억 7천만원)를 받은 것이 유일하게 공개되어 있습니다.
즉, 시드 투자 유치 후 GhatGPT2를 만들어 공개하면서 Microsoft의 투자(전략적 투자)를 유치하였고, 2년간 지속적인 성과물을 만들어 왔습니다. 앞서 잠시 언급하였지만, Microsoft는 Open AI의 기술을 자사의 상품 및 서비스에 적용하기 위한 전략적 투자였으며, 더불어 Microsof의 클라우드 서비스의 고객을 확보하기 위함이기도 하였습니다 .(OpenAI는 Microsoft의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인 Azure를 독점 클라우드 파트너로 지정하기도 하였습니다)
Open AI의 연도별 성과와 연도별 투자유치 실적을 비교해보면, 투자자가 본격적으로 투자를 하게 된 것은 바로 2022년 11년ChatGPT3을 공개한 이후 부터임을 알 수 있습니다.
|
|
|
🚀 투자를 한 이유
투자자들이 Open AI에 투자를 하게 된 여러가지 이유 중요한 요소는 바로 AI 산업의 구조적 성장 가능성과 수익화 가능성입니다.
1. AI 산업의 구조적 성장 가능성
OpenAI는 단순히 제품 하나가 아닌, 차세대 산업 전체를 바꿀 수 있는 핵심 기술(기반모델)을 개발하고 있다고 평가하였습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AI는 미래 산업 인프라이고, 그 중 OpenAI는 가장 핵심에 있는 플레이어로 판단한 것입니다. 또한 AGI(Artificial General Intelligence)라는 궁극의 목표 자체도 미래성에 대한 강력한 상징이 될 것으로 평가하였습니다.
2. 수익화 가능성: API 기반 확장성과 플랫폼 전략
투자자들은 GPT-3 이후, API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다양한 SaaS, 앱, 에이전트 등에 확장 가능성이 열리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수직통합형 제품도 가능하고, 플랫폼 기반 생태계(예: GPT Store, Plugin 생태계)도 가능하다고 평가하였습니다.
투자자 입장에서 "단순 B2B 솔루션"이 아닌 "AI 플랫폼 기업"으로 성장할 잠재력이 있다고 판단하였으며, 그 요인으로 OpenAI는 ChatGPT, Whisper, DALL·E, API, GPT Store 등으로 BM 다각화를 빠르게 전개하는 실행력으로 보았습니다.
투자자들은 OpenAI를 단순한 스타트업이 아니라, AI 산업의 ‘기반 인프라 기업’으로 보고 투자했으며, 기술력 + 시장성 + 수익화 전략 + 철학적 비전이 결합된 독특한 기업 구조가 그 결정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
|
|
투자자들이 투자유치를 희망하는 스타트업에게 바라는 것은 비전 및 사업계획만이 아닙니다. 계획과 더불어 어떤 성과를 내고 있는 지(ChatGPT2, ChatGPT3 등)가 중요합니다. 투자자들은 스타트업의 미래, 즉 가능성을 보고 투자를 하게 됩니다.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현재 스타트업이 무엇을 이루고 있느냐 입니다. |
|
|
지난 GX 세션 중
"성공할 사람들은 세상에 다르게 반응합니다."
에 대한 내용입니다.
성공하려고 하면 고난과 역경을 경험을 해야 될 겁니다. 만약에 고난과 역경을 경험하지 못한다면 성공에 이르기 어려울 것입니다. 그렇다면 실패는 언제 생기게 될까요? 여러분들이 포기할 때, 그 때 실패가 만들어집니다.
|
|
|
OOO프로젝트 박**
비전의 중요성과 한계정의하는 부분이 인상깊었습니다. 제가 너무 스스로 한계를 낮게 정의하고, 비전에 대해서 깊게 고민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깨닫게 됩니다. |
|
|
OO게임즈 안** 대표
Moonshot Thinking, 제품을 넘어 산업과 미래 설계가 중요하다는 게 인상 깊습니다. 되고자 하는 나(사업)에 대한 명확한 비전에서부터 구체적인 실행의 단계를 역방향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
|
|
OO디자인 한** 대표
투자사들은 알아서 잘 클만한 회사들을 선호 한다, 스스로 크는 회사는 알아서 공부한다, 성장에는 결핍이 필요하다. 로드투유니콘은 그 결핍을 채우는 과정이다 |
|
|
OO네이처 길** 대표
IR 피칭은 스토리텔링으로 누가 들어도 편하고 쉽게 이해해야 한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사업 전략을 잘 세우고, 전략을 스토리로 만들면 어디서나 쉽게 사업 설명이 가능해 질꺼 같다는 느낌이 듭니다. |
|
|
스타트업과 관련된 투자 업계 소식 등을 정리하였습니다. |
|
|
- 목적 : 우수 우주 기술을 보유한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비즈니스 밋업 및 사업화 연계(PoC)를 지원하여 동반성장 창출
- 대상 : 컨텍 X 아이스페이스와 협업을 희망하는 우주산업 기반 스타트업(창업 7년 이내 스타트업 및 소재지 제한 없음)
- 목적 : 성장잠재력을 갖춘 유망 에너지혁신벤처를, 서로 간 만남의 장을 마련하여 에너지신산업에 대한 투자 생태계를 활성화
- 대상 : 기술, 아이디어를 바탕으로 에너지·기후 분야에서 新제품·서비스를 제공하는 중소·중견·벤처기업 등 ※ 비영리법인, 개인, 상장사는 제외
|
|
|
(주)알토란벤처스 admin@altoranventures.com | 02-563-0983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516, 2층(대치동, 정헌빌딩)
스타트업 CEO를 위한 이메일 코칭 그만 받기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