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공한 창업자와 실패한 창업자 사이에는 명확한 차이점들이 존재합니다. 단순히 '운'이나 '자본'의 문제가 아
🚀 Weekly Insight : 성공하는 창업자의 공통점
🚀 GX세션 : 실패를 많이 하면 성공에 가까워 지는 이유 (동영상)
🚀 Weekly Topic : 2025년 예비창업패키지 특화분야(소셜벤처) 프리 소셜벤처 스쿨 참여자 모집(09.07 까지) 외
|
|
|
본 내용은 알토란벤처스의 CEO를 위한 GX세션 내용 중 일부를 요약한 내용입니다. |
|
|
성공한 창업자와 실패한 창업자 사이에는 명확한 차이점들이 존재합니다. 단순히 '운'이나 '자본'의 문제가 아니라, 생각하는 방식, 실행 습관, 팀워크, 시장 접근법 등에서 일관된 패턴의 차이가 나타납니다.
성공한 창업자들의 공통적인 7가지 요소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
|
🚀 문제 접근 방식
· 성공한 창업자들은 문제를 정확히 정의하고 집요하게 파고드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실제 사용자를 관찰하여 누가 어떤 문제를 가지고 있는지 파악하고,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를 명확히 정의합니다. 그리고 해당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사업으로서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되면 솔루션을 만들어 나갑니다.
· 반면 시행착오를 겪는 창업자들은 솔루션부터 만들고, 그 솔루션이 해결할 수 있는 문제를 나중에 찾습니다.
성공한 창업자는 ' 해결해야 할 문제'에 집착하고, 실패하는 창업자는 ' 만들고 싶은 것'에 집착하는 경향이 많습니다.
|
|
|
🚀 실행력과 계획
· 성공한 창업자는 빠른 실행과 피드백 수렴, 그리고 개선사항의 재실행에 강점을 보입니다. 미완성 계획이라도 작은 부분을 하나씩 실행을 통해 보완해 나갑니다. 처음부터 완벽한 제품/서비스를 출시하는 것이 아니라, 핵심 기능만 구현된 제품/서비스를 빠르게 출시하여 고객의 반응을 보고 개선해 나갑니다. 이런 경우 고객의 의견이 반영되어 개선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오히려 시간과 비용을 절약할 수 있습니다.
성공한 창업자는 ' 빠르게 움직이고 개선'하는 데 역량을 집중하지만, 실패하는 창업자는 ' 완벽함'을 추구하는 데 역량을 집중합니다.
|
|
|
🚀 팀 구성과 리더십
· 성공한 창업자는 보완적인 역량을 가진 팀원들과 함께 창업합니다. 솔루션 개발에 필요한 역량을 보유한 최소 인력과 사업화에 필요한 역량을 가진 인원으로 팀을 구성합니다. 각자 다른 역량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역할과 책임이 분명하며, 서로 보완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는 신뢰를 바탕으로 합니다. 이러한 신뢰를 기반으로 한 의사결정을 통해 창업자의 리더십이 발휘될 수 있습니다.
· 반면 실패하는 창업자의 경우, 친구나 지인 위주로 비슷한 역량을 가진 인원들로 팀을 구성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서로를 잘 이해할 수 있다는 장점은 있지만, 비슷한 역량으로 인해 역할 분담이나 책임이 불분명해질 수 있습니다.
|
|
|
🚀 시장 및 고객 이해도
· 성공한 창업자는 시장의 크기와 고객의 행동을 정량적·정성적으로 깊이 분석합니다. 고객 피드백, 인터뷰, 실험 등을 통해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의사결정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이를 바탕으로 정확한 고객과 시장을 정의하고 그에 맞는 사업화 전략을 세워 실행합니다.
· 반면 실패하는 창업자는 거시적인 시장 규모만 가늠하고, 고객에 대해서도 피상적으로만 추정합니다. 그렇기 때문에 계획과 실제 성과가 다른 경우가 빈번히 발생합니다.
성공한 창업자는 시장과 고객을 '측정해야 할 대상'으로 접근하며, 실패하는 창업자는 '내가 믿고 있는 대상'으로 접근합니다.
|
|
|
🚀 피벗과 유연성
· 성공한 창업자는 잘못된 방향이라고 판단되면 과감하고 신속하게 피벗을 합니다. 이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은 고객 반응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가 있기 때문입니다. 더구나 핵심 기능만 구현한 상태이기에 시간이나 비용도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인 경우가 많습니다.
· 반면 실패하는 창업가는 잘못된 방향이라고 판단할 데이터도 부족하며, '아직 시장이 우리 제품/서비스를 잘 모르고 있다'라고 확신하며 기존 방향을 그대로 유지하려고 합니다. 또한 '완성도'를 위해 투입한 시간과 비용이 아까워 피벗을 못하는 경우도 많습니다.
성공한 창업자는 집중하면서도 유연한 반면, 실패하는 창업자는 집요하지만 고집스러운 경우가 많습니다.
|
|
|
🚀 커뮤니케이션과 투자 유치
· 성공한 창업자는 문제, 솔루션, 시장, 회사의 비전을 투자자의 시각에서 명확하게 스토리화하여 전달합니다. 문제 정의에서 출발하기 때문에 자신의 사업이 왜 가능성이 있는지에 대한 설득력을 갖추고 있습니다.
· 반면 실패하는 창업자는 기술이나 제품/서비스에 대한 설명에만 집중하려 합니다. 좋은 기술을 활용한 제품/서비스일지라도 시장에서 성공할 가능성에 대한 설득력이 낮은 경우가 많습니다.
성공한 창업자는 ' 상대방이 듣고 싶은 이야기'를 하고, 실패하는 창업자는 ' 창업자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
|
🚀 지속력과 태도
· 성공한 창업자는 사업이란 단기전이 아닌 장기전임을 알고, 꾸준히 배우고 개선해 나가려는 태도를 보입니다. 실제로 사업을 위해 필요한 기술이나 지식을 지속적으로 쌓아나가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미흡한 성과가 나왔다고 해도 흔들리지 않고 침착하게 개선해 나가려고 합니다.
· 반면 실패하는 창업자는 조급하게 결과만 추구하다 보니 작은 실패에도 흔들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성공한 창업자는 ' 배우려는 사람'이고, 실패하는 창업자는 ' 증명하려는 사람'입니다.
|
|
|
성공과 실패에는 운도 작용하지만, 위와 같은 사고방식, 실행 전략, 태도에서 나오는 일관된 차이가 더 본질적인 요소입니다. |
|
|
지난 GX 세션 중
"실패를 많이 하면 성공에 가까워 지는 이유"
에 대한 내용입니다.
목표를 정하고 도전하는 과정은 결코 순탄하지 않습니다. 좋은 일도 있고 나쁜 일도 있죠. 목표를 세우고 일을 진행해 나가다 보면 '이런 일이 생길 것이고 이렇게 될 것이다'라고 예상하게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런데 예상과 다른 일들이 발생하면 당황하게 되고, 계획에서 벗어나게 되면 좌절하게 됩니다. 그리고 원하지 않았던 결과가 나타나면 실패했다고 생각합니다.
하지만 한번 생각해보세요. 과연 그것이 실패일까요?
|
|
|
OOO프로젝트 박**
비전의 중요성과 한계정의하는 부분이 인상깊었습니다. 제가 너무 스스로 한계를 낮게 정의하고, 비전에 대해서 깊게 고민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깨닫게 됩니다. |
|
|
OO게임즈 안** 대표
Moonshot Thinking, 제품을 넘어 산업과 미래 설계가 중요하다는 게 인상 깊습니다. 되고자 하는 나(사업)에 대한 명확한 비전에서부터 구체적인 실행의 단계를 역방향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
|
|
OO디자인 한** 대표
투자사들은 알아서 잘 클만한 회사들을 선호 한다, 스스로 크는 회사는 알아서 공부한다, 성장에는 결핍이 필요하다. 로드투유니콘은 그 결핍을 채우는 과정이다 |
|
|
OO네이처 길** 대표
IR 피칭은 스토리텔링으로 누가 들어도 편하고 쉽게 이해해야 한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사업 전략을 잘 세우고, 전략을 스토리로 만들면 어디서나 쉽게 사업 설명이 가능해 질꺼 같다는 느낌이 듭니다. |
|
|
스타트업과 관련된 투자 업계 소식 등을 정리하였습니다. |
|
|
- 목적 : 역량있는 소셜벤처 예비창업자를 발굴하여 검증된 비즈니스 모델로 사업을 구체화하고 우수 소셜벤처 예비창업자를 발굴해 차년도 예비창업패키지 연계지원하기 위함
- 대상 : 권역 내 창업을 희망하는 예비창업자
- 대상 : 경력단절 여성과학기술인을 활용하고자 하는 과학기술분야 연구기관
|
|
|
(주)알토란벤처스 admin@altoranventures.com | 02-563-0983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516, 2층(대치동, 정헌빌딩)
스타트업 CEO를 위한 이메일 코칭 그만 받기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