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초기 팀빌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핵심 인력을 전략적으로 확보하는 것입니다. 단순히 사람을 모으는
🚀 Weekly Insight : 투자유치를 위한 우선 순위, 팀빌딩하는 법
🚀 GX세션 : 영화 제작자처럼 사업하라 (동영상)
🚀 Weekly Topic : 2025년 창업도약패키지(딥테크 분야) 창업기업 모집 외
|
|
|
본 내용은 알토란벤처스의 CEO를 위한 GX세션 내용 중 일부를 요약한 내용입니다. |
|
|
이번 이메일코칭은 구독자가 요청하신 팀빌딩 하는 법에 대한 내용입니다.
스타트업 초기, 팀빌딩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핵심 인력을 전략적으로 확보하는 것입니다. 단순히 사람을 모으는 게 아니라, 비전과 리스크를 함께 감당할 동반자를 찾는 과정입니다.
이에 참고할 만한 사항을 정리하였습니다. 대부분 알고 있는 내용일 수 있지만, 시간에 쫗기거나 제풀에 지쳐 간과하기 쉬운 내용이기도 합니다.
|
|
|
🚀 어떤 인력이 필요한지 명확히 정의하여야 합니다.
초기에 창업팀을 구성하거나 창업 직후 인력을 구하려고 한다면, 어떤 일을 해야할 인력인지 명확히 해야 합니다. 보통 스타트업에 필요한 중요한 역할은 비즈니스 분야에 따라 크게 2~3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1. 기술(Tech): 개발자, CTO 2. 비즈니스(Biz): 사업개발, 영업, 전략 3. 디자인(Design): 제품 UX/UI
초기에는 창업자가 위 업무를 다 담당하기도 합니다만 투자자 관점에서는 장점이라기 보다는 단점에 가깝습니다. 위 모든 것과 재무/회계/노무까지 관리해야 하는 것이 CEO의 역할이기 때문입니다.
창업자를 대체할 수 없는 분야이거나 창업자 본인이 맡을 수 없는 핵심역할에 대한 인력을 우선 순위로 채용해야 합니다.
이런 기본적인 내용을 우선 소개드리는 이유는, 인재를 만나다보면 특정 분야에 뛰어난 인재를 만나는 경우가 있는데 그 뛰어남에 혹해 지금 필요하지 않은 업무 분야임에도 채용하는 경우가 종종 있기 때문입니다. 미래를 위한 채용이라고는 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 회사에서 내보내는 경우가 자주 발생합니다.
🚀 인재를 찾는 주요 방법입니다.
1. 지인추천을 통한 방법입니다. 다른 방법에 비해 신뢰도가 높고 빠르게 진행될 수 있습니다. 다만, 지인에게 '좋은 사람 없어?'라는 두루뭉실한 요청은 지양해야 합니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구체적인 역할과 조건을 전달할 수 있어야 합니다.
2. 스타트업 커뮤니티를 활용합니다. 많은 초기 인재 Pool이 있습니다. 로켓펀치, 디스콰이엇, 스타트업 얼라이언스, 슬랙 등을 활욯해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대상자에 대한 검증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3. 구인/구직 서비스를 활용합니다. 어느 정도 해당 업무에 대한 경험과 경력이 있는 인력을 구할 수 있습니다. 링크드인, 완티드 등을 활용해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창업자의 비전에 대한 공감보다는 연봉이나 커리어 성장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지에 대해 설득할 수 있어야 합니다.
4. 사이드 프로젝트 커뮤니티를 활용합니다. 이 방법은 정직원을 구하기 보다는 계약직 혹은 파트타이머를 구할 때 용이한 방법입니다. 패스트캠퍼스 커뮤니티, SideProject, 열정대학 등을 활용해 봏 수 있습니다.
5. 대학/대학원 네트워크를 활용합니다. 기술력을 갖춘 학부생이나 대학원생도 스타트업 초기 단계에서는 큰 도움이 됩니다. 전공이나 희망 분야와 스타트업의 방향성과 궁합이 맞은 경우 시너지가 날 수 있습니다.
🚀 연봉대신 비전으로 설득해야 합니다.
창업 초기엔 만족할 만한 연봉을 제시하기 어렵기에, 회사의 비전, 성장 기회, 지분으로 설득해야 합니다. 단순 직원이 아닌 공동 창업자 수준의 직위를 부여하거나, 지분을 보장하거나, C레벨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라는 등의 논리가 있어야 합니다.
🚀 피해야할 인재 유형입니다.
'재미있을 것 같네요'라는 반응을 보이는 사람은 관심만 있고 실행력이 떨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참여 여부에 대한 결정이 느리고, 참여하였을때도 실행력이 부족하여 성장에 방해가 되는 경우가 생길 수 있습니다.
회사의 지분보다는 현금으로 보상받기를 바라는 사람도 피해야 할 유형입니다. 대부분이 이러한 반응을 보이기도 합니다만 장기적인 비전보다는 단기적인 수익에 관심을 갖는 사람일 수 있습니다.
🚀 좋은 인재의 기준입니다.
좋은 인재란, 지금 필요한 역할을 충실히 해낼 수 있는 능력을 가진 사람 중에 리스크를 감수할 수 있는 용기, 스스로 필요한 업무를 찾아서 해내는 자율성, 비전에 공감하고 어덯게 비전을 실현할 수 있는 지 고민하는 사람입니다.
|
|
|
하지만 현실에 이런 사람이 있을 지 없을 지 알 수가 없습니다. 어쩌면 존재하지 않는 이상형일 수도 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내용을 소개하는 이유는, 100점 기준으로 볼때 과연 몇점의 사람과 같이 갈 수 있을까에 대한 고민을 해보시고, 자신만의 기준을 가지시기를 바라기 때문입니다.
|
|
|
지난 GX 세션 중
"영화 제작자처럼 사업하라"
에 대한 내용입니다.
좋은 영화는 철저하게 계획된 상상력, 디테일한 실행력, 관객중심의 설계가 어떻게 현실적인 성과로 이루어지는 지 보여줍니다. 이와 같은 영화 제작 과정을 들여다 보면, 이는 단순히 영화 제작에만 해당되기 보다는 사업가들에게 매우 본질적인 질문을 던지게 됩니다.
"나는 내 사업을, 마치 영화 한 편 만들 듯 치밀하게 준비하고 있는가?" |
|
|
OO디자인 한** 대표
투자사들은 알아서 잘 클만한 회사들을 선호 한다, 스스로 크는 회사는 알아서 공부한다, 성장에는 결핍이 필요하다. 로드투유니콘은 그 결핍을 채우는 과정이다 |
|
|
OO바이오 박** 대표
목표의 적합성을 다시 한 번 살펴보고, 실행력을 강화해야겠습니다. 오타니의 목표 의식과 실행력을 참고하도록 하겠습니다. |
|
|
OO네이처 길** 대표
R 피칭을 스토리텔링으로 누가 들어도 편하고 쉽게 하는 걸 깨달았습니다. 사업 전략을 잘 세우고, 전략을 스토리로 만들면 어디서나 쉽게 사업 설명이 가능해 질꺼 같다는 느낌이 듭니다. |
|
|
OO 안** 대표
심상화를 하면서 25년 연말에 원하는것을 이룬 모습을 상상해봤습니다 그때의 감정이 벅차올라서 그렇게 될 수 있게 더 열심히 해야겠다고 생각합니다. |
|
|
스타트업과 관련된 투자 업계 소식 등을 정리하였습니다. |
|
|
(주)알토란벤처스 admin@altoranventures.com | 02-563-0983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516, 2층(대치동, 정헌빌딩)
스타트업 CEO를 위한 이메일 코칭 그만 받기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