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유치를 위한 IR(Investor Relations) 준비는 단순히 멋진 발표자료(PPT)를 만드는
🚀 Weekly Insight : 투자유치에 필요한 IR, 이렇게 준비하세요
🚀 GX세션 : 창업에서 성공하기 위한 7가지 준비 (동영상)
🚀 Weekly Topic : 2025 서울창업허브 공덕 보육성장 프로그램 참여기업 모집 외
|
|
|
본 내용은 알토란벤처스의 CEO를 위한 GX세션 내용 중 일부를 요약한 내용입니다. |
|
|
투자 유치를 위한 IR(Investor Relations) 준비는 단순히 멋진 발표자료(PPT)를 만드는 걸 넘어서, 투자자에게 “이 사업은 투자할 만하다”는 신뢰를 주는 전체적인 전략 설계 과정입니다. 초기 스타트업 CEO의 입장에서 IR을 준비할 때 핵심적으로 챙겨야 할 내용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
|
|
🚀 IR 자료 구성 요소 (Pitch Deck)
IR 발표자료(Pitch Deck)는 보통 10~15장 이내로 간결하고 명확하게 구성합니다.
주요 구성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 회사명, 로고, 한 줄 소개(회사의 정체성을 한 줄에 요약할 수 있어야 합니다.) ▣ 문제 정의 : 해결하려는 문제(고객의 Pain Point) ▣ 해결책 : 제품 또는 서비스로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는지 ▣ 시장 분석 : 시장 크기(TAM, SAM, SOM), 성장 가능성 ▣ 비즈니스 모델 : 수익 창출 방식 ▣ 경쟁 분석 : 경쟁사와의 차별점 (경쟁 우위) ▣ 제품/기술 설명 : 핵심 기술, 제품 소개 (간단한 데모 이미지 가능) ▣ 성과 지표 : 매출, 사용자 수, 지표 등 성장 증거 ▣ 팀 소개 : 핵심 인력의 경력, 전문성 ▣ 투자 유치 목적 : 얼마를, 어떻게 쓸 것인지 (자금 운용 계획) ▣ 향후 계획 (로드맵) : 단기(1~2년 내) 및 장기(3~10년) 목표와 계획
🚀 핵심 메시지 정리
IR 발표자료는 스타트업이 말하고 싶은 내용 보다, 투자자가 듣고 싶은 내용을 위주로 구성되어야 합니다.
"왜 지금 이 문제를 풀어야 하나?" 시장의 규모, 성장 추이 등에 대한 근거를 제시하여 지금 이 사업이 필요한 이유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왜 당신 팀이 그걸 해낼 수 있나?" 사업이 성공하기 위한 핵심 요소를 정의하고, 해당 요소에 대한 전문성을 팀 구성원들이 갖고 있음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어떻게 돈을 벌고 성장할 것인가?" 어떤 수익모델을 적용할 것이고, 해당 모델에 대한 가능성이 있음을 유료 고객수 등 근거를 통해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투자금은 어떻게 쓰고, 얼마만큼 성장할 것인가?" 투자자는 자신들의 투자금을 통해 스타트업이 성장하길 바라지, 시작하는 것을 바라지 않습니다. 투자를 받지 않은 경우의 성장 예측과 투자를 받았을 때의 성장 예측을 비교하되, 투자금을 어느 분야에 왜, 얼마나 사용하고 어떤 기대 효과가 있을 것인지 설명할 수 있어야 합니다.
🚀 데이터 기반 준비
투자자는 데이터로 설득해야 합니다.
단순한 생각과 예상으로는 설득할 수 없습니다. 명확한 출처가 있는 논문, 조사보고서, 실제 고객 반응을 담은 각종 지표가 있어야 발표하는 내용을 신뢰하고 관심을 가질 수 있게 됩니다.
🚀 투자자 타겟 설정
스타트업의 성장 단계에 따라 투자를 요청할 수 있는 투자 기관이 달라집니다. 사업계획서나 IR 자료만 있고 성과가 없는 경우 벤처캐피털의 문을 두드려도 결코 열리지 않습니다. 반대로 수십억 수백억 투자금이 필요한 상황에서 액셀러레이터를 설득하려 한다면 투자 유치의 가능성을 스스로 없애버리는 것입니다.
🚀 피칭 스킬 연습
IR은 준비한 자료를 읽는 자리가 아닙니다. 자신의 사업을 설명하고, 자랑하고 결국 투자자를 설득하는 자리입니다. 발표자의 태도, 몸짓, 추임새 등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투자자도 있으니, 한 번쯤은 발표하는 모습을 영상으로 찍어서 리뷰해 보시기 바랍니다.
🚀 상세자료, 근거자료 준비
투자자가 관심을 보였을 때를 대비하여 미리 준비하시기 바랍니다. 자료 요청을 받았는 데 회신까지 시간이 걸린다면 그 관심이 식어 버릴 수 있습니다.
|
|
|
정말 투자유치를 받고 싶다면, IR 자료 준비에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 사업계획서 대행업체에 맡기기 전에 자신의 사업의 장단점을 스스로 파악해야 합니다. 그리고 신뢰할 만한 멘토, 선배 창업자, 주주에게 IR 자료 피드백을 받고 개선하시기 바랍니다.
|
|
|
지난 GX 세션 중
"창업에서 성공하기 위한 7가지 준비"
에 대한 내용입니다.
창업을 할 때 가장 크게 착각하는 것은 하고 싶은 것에서 시작하는 것입니다. 성공하는 창업은 시장의 문제를 찾는 것부터 시작하는 겁니다. 사실 고객도 고객 자신이 무엇을 원하는지 모릅니다. 실행력은 아이디어보다 훨씬 중요한 무기입니다. |
|
|
OO디자인 한** 대표
투자사들은 알아서 잘 클만한 회사들을 선호 한다, 스스로 크는 회사는 알아서 공부한다, 성장에는 결핍이 필요하다. 로드투유니콘은 그 결핍을 채우는 과정이다 |
|
|
OO바이오 박** 대표
목표의 적합성을 다시 한 번 살펴보고, 실행력을 강화해야겠습니다. 오타니의 목표 의식과 실행력을 참고하도록 하겠습니다. |
|
|
OO네이처 길** 대표
R 피칭을 스토리텔링으로 누가 들어도 편하고 쉽게 하는 걸 깨달았습니다. 사업 전략을 잘 세우고, 전략을 스토리로 만들면 어디서나 쉽게 사업 설명이 가능해 질꺼 같다는 느낌이 듭니다. |
|
|
OO 안** 대표
심상화를 하면서 25년 연말에 원하는것을 이룬 모습을 상상해봤습니다 그때의 감정이 벅차올라서 그렇게 될 수 있게 더 열심히 해야겠다고 생각합니다. |
|
|
스타트업과 관련된 투자 업계 소식 등을 정리하였습니다. |
|
|
(주)알토란벤처스 admin@altoranventures.com | 02-563-0983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516, 2층(대치동, 정헌빌딩)
스타트업 CEO를 위한 이메일 코칭 그만 받기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