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 경영자들에게 성공적인 사업 노하우를 전수하는 마이클 거버 컴퍼니의 창립자마이클 거버는 자신의 저서 "사업의 철학"(The E-Myth Revisited)에서 많은 사업가들이 사업가라기보다 기술자로서 사업을 시작한다고 지적합니다. 즉, 자신이 잘하는 기술이나 전문 분야에 집중한 나머지, 실제로 사업을 운영하고 성장시키는 데 필요한 경영적인 측면을 간과하게 된다는 것입니다.
거버는 많은 사람들이 "사업을 시작하는 것은 사업을 경영하는 것과 동일하다"고 믿고 있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기술적인 능력이 뛰어난 사람이 반드시 좋은 경영자가 되는 것은 아니며, 경영과 기술은 별개의 역량이라고 강조합니다.
그리고 창업자는 다음과 같은 세 가지 역할을 잘 조화시켜야 한다고 합니다.
· 기업가(Entrepreneur) : 비전을 설정하고, 미래를 계획하며, 기회를 모색하는 역할.
· 관리자(Manager) : 시스템과 구조를 구축하여 조직을 안정적으로 운영하는 역할
· 기술자(Technician) : 실제 제품이나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술적인 전문가 역할
그리고 사업을 성공시키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일을 해야한다고 말합니다.
1. 표준화된 시스템을 구축하여, 프랜차이즈 모델처럼 운영되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이는 사업이 성장하고 확장되더라도 일관된 품질과 서비스를 유지할 수 있게 합니다.
2. 사업은 창업, 성장, 성숙의 세 단계를 거치며, 각 단계에서 직면하는 도전 과제가 다르다고 설명합니다. 사업가는 각 단계에 맞는 전략과 관리를 통해 성공적으로 사업을 운영해야 합니다.
3. 창업가는 단순히 업무에 매몰되지 말고, 시스템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사업을 운영해야 한다고 강조합니다. 이는 사업이 지속 가능하게 만드는 핵심 요소입니다.
4. 성공적인 사업 운영을 위해서는 명확한 비전과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세워야 합니다. 거버는 이를 통해 사업의 방향성을 유지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결론적으로, "사업의 철학"은 사업가들이 흔히 범하는 실수를 피하고, 체계적이고 성공적인 사업 운영을 위해 필요한 철학과 실천 방안을 제시합니다. 기술적인 능력에만 의존하지 않고, 경영적인 측면을 강화하여 사업을 지속 가능하고 확장 가능한 시스템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것이 이 책의 핵심 메시지입니다.
이러한 역할을 하고 있거나 해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는 창업자라면, 모든 투자자들은 긍정적인 투자결정을 하게 될 것입니다.
스타트업 CEO를 대상으로 GX (Group eXecution) 세션이 매주 진행되고 있습니다.
어떤 내용이 진행되고 있는지, 살짝 공개합니다.
성공의 원리
· 스티브 잡스 성공 비결
· 북극성 지표 만들기 2
상장 기업 케이스스터디
(주)피앤에스미캐닉스
OO 안** 대표
문제의 현상과 본질 부분에서 저는 외부적인 문제의 현상과 본질로 정리했는데 내부적으로도 고민을 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사업을 더욱 크게 할 수 있을 것 같다는 자신감이 생겼으며, 다양하게 사업구조를 확대가 가능 할 것 같습니다.
블루OOO 임** 대표
내 제품을 과연 고객이 원하는 것인가, 내가 원하는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더 철저하게 해야겠습니다. 회사의 제품개발이나 광고 등 모든 서비스에서 5단계 법칙을 적용해서 질문하는 과정을 거칠것입니다. 정말 고객이 원하는것을 제공할 수 있을 것 같은 느낌입니다.
OOOO바이오 노** 대표
직원들에게 비전을 공유하는 것도 잘 하지 못했지만, 동물병원 수의사들을 고객으로만 생각하지 않고, 그들의 고민을 공감하며 내 고민을 털어놓고 나의 비전에 대해 이야기할 수 있는 신뢰 관계를 쌓는 것이 부족했다는 것을 깨달았다.
의식의 수준을 높여야 현실을 바꿀 수 있다.
OO디자인 한** 대표
*오프라인 에서 이룬 성과를 온라인에서 보여주는 일의 중요성. 크던 작던 하고 있는 성과들을 열심히 온라인 상에 보여주는 일을 게을리 하지 말아야겠다. *'영업 마케팅 성공 질문'에 내가 출시하고자 하는 제품이나 서비스를 적용하여 시뮬레이션 해보기 *실적의 중요성-심지어 일 단위 실적까지도 체크하고 분석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