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타트업 창업자는 단순히 아이디어나 제품을 만들고 초기 시장을 개척하는 단계를 넘어, 지속 가능한 비즈니스를
🚀 Weekly Insight : 바뀌지 않는 창업자는 성공할 수 없습니다.
🚀 GX세션 : 열심히 일하기 전에 먼저 해야 할 것 (동영상)
🚀 Weekly Topic : 2025 현대건설 X 충남창조경제혁신센터 Nexus Connect 오픈이노베이션 밋업 데이 참여기업 모집 외
|
|
|
본 내용은 알토란벤처스의 CEO를 위한 GX세션 내용 중 일부를 요약한 내용입니다. |
|
|
스타트업은 단기간에 폭발적인 성장을 해야 생존할 수 있는 생태계입니다. 그 성장 속도를 감당하고 이끌 수 있으려면 사업가로서의 능력이 필요합니다. 창업자 스스로가 그 변화를 만들지 못하면, 결국 조직은 그 사람을 두고 갈 것이고 시장도 투자자도 외면하게 됩니다.
창업자가 사업가로 진화하기 위해 집중해야할 영역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
|
|
🚀 사고의 전환 : 제품 중심에서 사업 중심으로
창업 초기 창업자는 "좋은 제품을 만들어야 한다"는 생각으로 기술 혹은 제품 개발에 집중하게 됩니다. 어느 정도 개발이 완료되고 MVP가 나온 단계라면, 이제 사업가적인 사고 방식으로 변화해야 합니다.
제품 중심에서 벗어나 사업적인 즉, 고객 중심 혹은 시장 중심의 사고를 해야 합니다. "고객이 원하는 가치를 지속적으로 수익성 있게 전달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를 생각해야 합니다. 이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해 비즈니스 모델, 유통 전략, 수익 구조, 조직 운영까지 고민해야 합니다. 투자자의 관심을 받을 만한 지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사업가적인 사고방식이 필요합니다.
|
|
|
🧲 조직의 리더에서 CEO로 성장
초기의 창업자는 모든 것을 직접 처리하거나 소규모의 창업팀을 이끄는 리더의 역할을 하게 됩니다. 하지만 본격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사업을 위한 시스템을 구상해야 됩니다. 필요한 사람을 뽑고, 조직을 설계하고, 업무를 위임하며 인재를 성장시킬 수 있는 CEO가 되어야 합니다.
"어떤 일을 시킬 것인가?" 보다는 "누구에게 어떤 책임을 줄 것인가?"를 고민해야 되며, 채용·문화·평가·보상·유지·승계까지 인사 전체를 공부해야 합니다.
|
|
|
💸 재무 감각과 자금 전략 이해
창업 초기에는 단순히 "투자는 받아야 되고, 비용은 아껴서 써야 된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투자자는 투자금을 어떻게 잘 쓸 것인지도 염두에 둡니다. 단순히 비용을 아끼는 것이 아닌, 돈을 잘 쓰는 능력을 보는 것입니다.
사업가가 된다는 것은 회사의 캐시플로우 관리, 수익 모델 정교화, 투자 유치 전략, 재무제표에 대한 능력을 키우는 것입니다. 단순히 회계사나 세무사에게 맡기는 것이 아니라 손익계산서, 대차대조표, 현금흐름표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도는 갖춰야 합니다. 이러한 능력이 결국 투자자와 협상할 때 기업가치 산정 등 조건을 리드할 수 있게 만들어 줍니다.
|
|
|
🌍 시장과 고객을 구조적으로 바라보기
창업 초기에는 당연하지만 PMF 확인에 집중해야 합니다. 하지만 PMF가 확인되었다면 우리가 하고자 하는 비즈니스에 대한 TAM/SAM/SOM, 경쟁구도, 마케팅 채널 ROI, 세그먼트별 전략 수립까지 시야를 확장해야 합니다.
우리의 고객이 개인인지 기업인지 혹은 정부인지에 따른 Go To Market 전략의 차이를 이해해야 하고, 고객 세그먼트에 따른 LTV와 CAC를 산정하는 방법을 연습하고 습득해야 합니다.
|
|
|
💡 의사결정 능력의 고도화
창업가는 직관과 열정을 바탕으로 빠르게 결정하고, 제품을 만들고 계획을 실행해야 합니다. 창업가에서 사업가로 변화하기 위해서는 직관과 열정이 아닌 데이터를 바탕으로 의사 결정을 해야합니다. 데이터를 바탕으로 의사결정을 해야 하는 이유는 단순히 “정확성” 때문만이 아닙니다. 스타트업이나 사업 환경에서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은 생존, 성장, 신뢰를 위한 핵심 도구입니다.
조직이 커지거나 투자자/고객/팀원들과 협업할수록 "왜 그런 결정을 했는가?"를 설명하고 설득해야 할 상황이 많아집니다. 구성원마다 의견이 다를 때, 누가 옳은지를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면 객관적인 기준을 만들 수 있고, 사람이 아니라 논리로 결정할 수 있게 됩니다.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은 창업자 자신뿐 아니라, 회사를 '신뢰 가능한 조직'으로 만들어 줍니다.
|
|
|
🎯 외부 네트워크와의 전략적 관계 형성
사업을 하게 되면 누군가를 설득해야 하는 일이 많아집니다. 그 과정에서 수많은 관계가 형성되게 됩니다. 투자자, 협력사, 미디어, 정책 기관 등을 접촉하고 설득하는 과정에서 관계가 만들어 집니다.
사업가는 이러한 관계를 비즈니스 자산으로 활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단순히 아는 사람, 아는 회사, 아는 담당자가 아니라 사업을 유리하게 진행할 수 있도록 그 관계를 활용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위해 가장 필요한 것이 신뢰입니다. 신뢰를 얻을 수 있는 언어 습관을 형성해야 하고, 약속은 지킨다는 모습을 보여주어야 합니다. 사업가 개인에 대한 신뢰는 결국 회사에 대한 신뢰를 얻을 수 있게 됩니다.
|
|
|
창업 초기에는 "좋은 제품을 만들 수 있는 사람"이면 되지만, 성장 단계에서는 "좋은 사업을 운영할 수 있는 사람"이어야 합니다. PMF 이후부터는 점점 더 '사업가 마인드셋'이 필요해지며, 그 시점부터는 스스로의 역할을 기술자/제품 리더에서 CEO/전략가로 의식적으로 전환하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
|
|
지난 GX 세션 중
"열심히 일하기 전에 먼저 해야 할 것"
에 대한 내용입니다.
세상에는 정말 위대한 일을 성취하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특히 요즘 시대에는 그런 사람들이 두각을 나타내고 있죠. 일런 머스크, 젠슨 황 등 세계적인 비즈니스계를 주도하고 있는 이런 사업의 천재들은 우리하고는 완전히 종류과 다른, 마치 그런 일을 하기 위해서이 세상에 태어난 사람처럼 느껴집니다.
|
|
|
OOO프로젝트 박**
비전의 중요성과 한계정의하는 부분이 인상깊었습니다. 제가 너무 스스로 한계를 낮게 정의하고, 비전에 대해서 깊게 고민하지 않았다는 사실을 깨닫게 됩니다. |
|
|
OO게임즈 안** 대표
Moonshot Thinking, 제품을 넘어 산업과 미래 설계가 중요하다는 게 인상 깊습니다. 되고자 하는 나(사업)에 대한 명확한 비전에서부터 구체적인 실행의 단계를 역방향으로 접근하는 것이 필요하게 되었습니다. |
|
|
OO디자인 한** 대표
투자사들은 알아서 잘 클만한 회사들을 선호 한다, 스스로 크는 회사는 알아서 공부한다, 성장에는 결핍이 필요하다. 로드투유니콘은 그 결핍을 채우는 과정이다 |
|
|
OO네이처 길** 대표
IR 피칭은 스토리텔링으로 누가 들어도 편하고 쉽게 이해해야 한다는 걸 깨달았습니다. 사업 전략을 잘 세우고, 전략을 스토리로 만들면 어디서나 쉽게 사업 설명이 가능해 질꺼 같다는 느낌이 듭니다. |
|
|
스타트업과 관련된 투자 업계 소식 등을 정리하였습니다. |
|
|
(주)알토란벤처스 admin@altoranventures.com | 02-563-0983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516, 2층(대치동, 정헌빌딩)
스타트업 CEO를 위한 이메일 코칭 그만 받기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