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자들이 외면하는 사업계획서나 IR자료에는 몇 가지 공통된 특징이 있습니다. 반대로 해당 공통점들이 투자자 본 내용은 알토란벤처스의 CEO를 위한 GX세션 내용 중 일부를 요약한 내용입니다. |
|
|
투자자들이 외면하는 사업계획서나 IR자료에는 몇 가지 공통된 특징이 있습니다. 반대로 생각하면 이러한 공통점들이 투자자들에게 관심을 갖게하는 요소라고도 할 수 있지 않을까 합니다. 오늘은 이러한 투자자들이 외면하는 자료의 공통점들을 알아보고자 합니다. 예비창업자나 스타트업 CEO라면 꼭 알고 있어야 할 부분일 것입니다.
|
|
|
- 투자자들이 외면하는 사업계획서의 공통점 -
🚀 문제가 불명확하거나 공감되지 않습니다. 🚀 솔루션이 구체적이지 않거나 차별화 되지 않습니다. 🚀 시장 규모를 과장하거나 또는 근거가 부족합니다. 🚀 비즈니스 모델이 희미하거나 현실성이 없습니다. 🚀 팀 역량 설명이 약하거나 불균형 상태입니다. 🚀 트랙션(실적)이나 지표가 부실하거나 과장되는 경우입니다. 🚀 투자금 사용 계획이 막연합니다. 🚀 Exit 전략이 아예 없거나 비현실적입니다. 🚀 미래에 대한 계획만 있고 과거 혹은 현재가 없습니다.
|
|
|
✅ 해결하려는 문제에 대해 명확히 설명하지 않거나, 시장에서 충분히 공감할 만한 pain point가 아닌 경우입니다. ✅ 아주 한정적인 조건의 연령대나 직업 혹은 산업군의 고객들에게는 문제점일 수도 있지만, 그 규모가 작다면 투자자들은 외면하게 됩니다.
|
|
|
🚀 솔루션이 구체적이지 않거나 차별화 되지 않습니다.
|
|
|
✅ 기술적으로 멋져 보이지만 실질적으로 어떻게 문제를 해결하는지 설명이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 "이 방식이 경쟁사 보다 훨씬 효율적입니다", "고객들이 더 좋아합니다" 등 사용자 검증, 시장 테스트 없이 그냥 창업자의 생각만 반영한다면 투자자들의 공감을 얻기 어렵습니다. ✅ 왜 이 솔루션이 더 나은지에 대한 데이터, 근거, 사용자 피드백이 없습니다. 검증된 솔루션이 아니라면, 최소한 검증할 계획이라도 제시해야 신뢰가 가능합니다.
|
|
|
🚀 시장 규모를 과장하거나 또는 근거가 부족합니다.
|
|
|
✅ TAM, SAM, SOM 등의 수치를 무리하게 부풀리거나 출처 없이 제시하는 경우입니다. ✅ 투자자들이 서류 상의 수치를 그대로 믿는 경우는 없습니다. 자체적으로 검증을 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스타트업에 유리한 부분만 발췌한다거나, 근거가 부족한 상태에서 '시장 규모가 크니 성장 기회가 있다'라고 주장하면 투자자들의 신뢰를 얻기는 어렵습니다.
|
|
|
🚀 비즈니스 모델이 희미하거나 현실성이 없습니다.
|
|
|
✅ 수익 창출 구조가 불분명하거나 구체적인 매출 플랜이 없는 경우 입니다. 현실성이 없는 비즈니스 모델은 대부분 고객 행동, 시장 반응, 실행 가능성에 대한 검증 없이 창업자의 희망만 반영된 경우가 많습니다. ✅ 1년 안에 100만 명의 이용자를 확보하고, 그 중 10%가 유료로 전환하여 구독료 매출을 올리겠다는 계획이라면, 그 근거를 논리적으로 명확히 설명해야 합니다.
|
|
|
🚀 팀 역량 설명이 약하거나 불균형 상태입니다.
|
|
|
✅ 창업자나 팀 구성원의 경험, 배경, 전문성이 사업과 연결되지 않는 경우 입니다. AI를 활용한 비즈니스인데 구성원중에 AI 전문가 없다거나(혹은 외주로 해결), 개발자들만 있고 영업이나 마케팅 인력이 없는 경우 투자자들의 신뢰를 얻기 힘들어집니다. ✅ 상품 혹은 서비스를 만드는 전문가도 필요하지만, 그것을 고객에게 팔 수 있는 전문가도 있어야 합니다.
|
|
|
🚀 트랙션(실적)이나 지표가 부실하거나 과장되어 있습니다
|
|
|
✅ 주요 지표가 아예 설정되어 있지 않거나, 지표에 대한 숫자가 없이 "사용자 반응 좋다"는 식의 주관적 평가만 존재하는 경우입니다. ✅ CAC, LTV 등 핵심 지표 없이 단순히 성장 중이라거나 성장 예정이라는 표현만 반복된다면, 투자자의 관심과 신뢰를 얻기는 어렵습니다.
|
|
|
✅ 왜 투자를 받아야 되는 지에 대한 목적이 없거나, 마케팅에 쓸 예정 등 포괄적 표현만 있고, 구체적인 사용 계획이 없는 경우입니다. ✅ 투자금을 사용하여 어떤 성과를 기대하는 지에 대한 설명도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 투자자는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기관이 아닙니다. 투자를 통해 수익을 얻고자 하는 회사입니다. 투자에 대한 성과를 예측할 수 없다면 투자자의 관심에서 멀어지게 됩니다.
|
|
|
🚀 Exit 전략이 아예 없거나 비현실적입니다.
|
|
|
✅ 투자에 대한 Exit 전략이 아예 없거나, IPO, M&A 등 창업자의 희망사항만 언급되고 그에 대한 근거가 없는 경우입니다. ✅ IPO나 M&A 계획이 있다면, 그에 대한 구체적인 시기나 근거를 제시하여야 합니다. 위에서 언급하였듯이 투자자는 수익을 얻기 위해 투자를 하므로, 투자자에게 제공하는 사업계획서에는 그 방법을 반영하고 있어야 합니다.
|
|
|
🚀 미래에 대한 계획만 있고 과거 혹은 현재가 없습니다.
|
|
|
✅ 많은 사업계획서에 보여지고 있는 공통점입니다. 사업계획서에서 미래 비전만 강조하고 과거 혹은 현재의 내용이 비어 있다면, 투자자나 파트너는 '지금 까지는 무엇을 하였을까?', '계획은 그럴듯 한데 실행할 수 있을까'라고 생각할 수 밖에 없습니다. ✅ 이런 경우 그 내용을 보면 '서비스를 개발할 예정입니다', '1분기에 출시할 예정입니다', '글로벌 진출을 추진할 예정입니다' 등 '~할 예정입니다'라는 표현만 반복됩니다. 현재까지 어떤 성과를 내었거나 어느 단계까지 진행되었는 지 전혀 알 수가 없습니다.
✅ 미래 계획은 물론 현재까지의 진행 상황(Execution)이 있어야 투자자들의 신뢰를 얻을 수 있습니다.
|
|
|
여러분들은 취업을 위해서 자기소개서를 작성해보신 적이 있나요? 사업소개서(또는 IR자료)와 자기소개서는 겉보기엔 전혀 다른 문서처럼 보이지만, 본질적으로는 "상대방을 설득하는 글"이라는 점에서 매우 유사합니다. 자기소개서는 '나'라는 브랜드를 파는 피치덱이고, 사업소개서는 '‘스타트업'의 아이디어와 역량을 파는 자기소개서입니다. |
|
|
스타트업 CEO를 대상으로 GX (Group eXecution) 세션이 매주 진행되고 있습니다.
어떤 내용이 진행되고 있는지, 살짝 공개합니다. |
|
|
인사이트
· 기업별 After Action 리뷰
· 성과 중심 vs 시스템 중심
마케팅과 세일즈
|
케이스 스터디
신규 상장기업 : 모티브링크(주) |
|
|
OO 안** 대표
심상화를 하면서 25년 연말에 원하는것을 이룬 모습을 상상해봤습니다 그때의 감정이 벅차올라서 그렇게 될 수 있게 더 열심히 해야겠다고 생각합니다. |
|
|
OO디자인 한** 대표
대표님께서 해주신 "현재를 버티면서 미래를 준비하자"는 이 말씀이 어느 지식 보다 지혜 보다 현실적으로 와 닿고 고난을 이겨낼 힘이 되어주는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
|
씨앤OO 임** 대표
내가 변해야 회사도 변한다. 창업 9년차지만 새롭게 다시 비즈니스 모델을 재정립하여 다시 도전해야하는 창업자의 느낌 초심으로 돌아가자. 현실에 안주하지 말고 현재 회사 상황에 맞게 비즈니스 모델을 재정립하여 다시 새롭게 도전하자. |
|
|
블루OOO 임** 대표
내 제품을 과연 고객이 원하는 것인가, 내가 원하는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더 철저하게 해야겠습니다.
회사의 제품개발이나 광고 등 모든 서비스에서 5단계 법칙을 적용해서 질문하는 과정을 거칠것입니다. |
|
|
(주)알토란벤처스 admin@altoranventures.com | 02-563-0983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516, 2층(대치동, 정헌빌딩)
스타트업 CEO를 위한 이메일 코칭 그만 받기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