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유치에 성공한 스타트업들의 공통점은 몇 가지 핵심 요소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좋은 아이디어’만
뿌리깊은 나무는 바람에 아니 움직일세, 꽃 좋고 열매 많나니.
- 용비어천가 -
|
|
|
본 내용은 알토란벤처스의 CEO를 위한 GX세션 내용 중 일부를 요약한 내용입니다. |
|
|
투자유치에 성공한 기업의 7가지 공통점 중 지난 주에 소개한 내용에 이어 3가지에 대해 소개합니다. 투자 유치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좋은 아이디어’, '뛰어난 기술'만으로는 부족합니다. 투자자들이 실제로 중요하게 보는 부분들이 있습니다. 투자유치에 성공한 스타트업의 공통점을 살펴보면, 투자자들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
|
|
- 투자 유치에 성공한 스타트업의 7가지 공통점 -
🚀 뛰어난 프로덕트 감각 (또는 개발 역량).
🚀 좋은 팀 구성.
🚀 스토리텔링 + 커뮤니케이션 능력.
|
|
|
🚀 “뛰어난 프로덕트 감각 (또는 개발 역량)”
|
|
|
· 초기 스타트업은 매출이 적거나 없고, 조직도 작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그렇기에 투자자들은 이 스타트업이 제품 혹은 서비스를 만들어 낼 능력이 있는 지 궁금해합니다. 결국 프로덕트는 스타트업의 능력을 보여주는 핵심 지표가 되며, 투자유치에 성공한 기업들은 제품 혹은 서비스를 만들어 놓은 기업이 대다수 입니다.
· 개발 역량은 곧 실행력을 증명하는 것입니다.
아이디어나 계획은 누구나 낼 수 있지만, 실제로 그것을 만들고 출시하는 건 완전히 다른 일입니다. 투자자 입장에서는 IR자료나 사업계획서에 언급된 계획을 실현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고 판단할 수도 있습니다.
· 투자자들이 가장 관심 있어 하는 건 결국 성장 가능성입니다.
성장의 시작점은 언제나 “사용자가 좋아하는 제품”에서 출발하게 됩니다. 좋은 프로덕트를 만들 수 있는 감각이 있어야, 고객의 반응을 이끌어내고 성과가 나오고 투자가 이루어지게 됩니다.
· 또한 뛰어난 역량은 초기 비용과 시간을 아낄 수 있고, 빠른 시간 내에 고객의 반응에 대하여 개선안을 만들거나 방향을 바꿀 수 있게 됩니다.
|
|
|
팀 구성은 투자자들이 주의깊게 살펴보는 부분입니다. 결국 사업은 사람이 하는 일이기 때문입니다. 그렇다면 투자를 받은 스타트업의 팀 구성은 어떤 공통점을 가지고 있을까요?
· 프로덕트를 자체 개발할 수 있는 역량이 있는 팀 자체적으로 프로덕트를 만들어 낼 수 있는 역량이 있다면, 제품 혹은 서비스 출시나 개선이 빠르게 이루질 수 있다고 판단합니다. 반면 개발 역량이 없고 외주에 의존하거나 한다면, 제품의 출시 일정이나 비용에 대하여 부정적인 판단을 하게 됩니다.
· 사용자 중심 사고가 명확한 팀 바로 고객의 문제를 정확히 이해하고, 해결책을 명확히 제시하는 팀입니다. 간혹 기술이나 아이디어에 몰입되어 비즈니스를 계획하는 경우, 고객의 반응이 예상과는 다르게 나타나 위기를 겪게 되는 일이 일어나곤 합니다. 고객의 니즈나 문제점(Pain Point)에서 출발하고, 이를 해결하는 것이 기술이나 아이디어가 되야 합니다.
· 실행력이 빠른 팀 첫 번째의 내용과 연계됩니다만, MVP를 빠르게 출시하고, 사용자 피드백을 받고, 빠르게 개선하거나 고도화 할 수 있는 팀입니다. 빠른 실행력이 결국 빠른 성과를 만들어내고, 투자를 하게 되면 빠른 성장을 할 수 있는 팀으로 기대하게 됩니다.
· '왜 우리가 이걸 해야 하는가?'에 대한 스토리가 있는 팀. 많은 비즈니스 아이템 중에서 왜 해당 아이템을 하려고 하는 지에 대한 물음에, 명확하고 공감할 수 있는 답변을 할 수 있는 팀입니다. 투자자 들이 공감할 수 없는 스토리라면, 사업에 대한 의지나 지속성에 의문을 가지게 될 수 있습니다.
|
|
|
시드나 프리A 단계에서는 매출이나 성장지표가 충분하지 않습니다. 그렇기에 초기 스타트업을 평가요소 중 하나가 '스토리'입니다. 투자자는 “이 팀이 믿을 만한 비전을 갖고 있는가?”를 보게 됩니다.
· 스토리텔링은 '미래를 현실처럼 보여주는 기술'
"지금은 작지만, 이렇게 커질 것입니다." "우리가 왜 이 문제에 진심인지 알려드리겠습니다." 이런 이야기가 논리적으로, 공감 가게 전달돼야 투자자 마음이 움직일 수 있습니다.
· 시장을 얼마나 깊이 이해하고 있는지 보여줄 수 있는 수단 커뮤니케이션 능력은 단순히 말을 잘한다는 게 아니라, 핵심을 명확하게, 상대가 이해할 수 있게 전달하는 능력입니다. 이를 위해서는 하고자 하는 비즈니스에 대한 깊은 성찰이 필요합니다. 이게 잘 되는 팀은 자연스럽게 '시장에 대한 깊은 인사이트'를 가지고 있다고 느끼게 됩니다.
· 투자자는 '사람'에게 투자합니다. 특히 초기 투자자일수록, 아이템보다 창업자의 역량과 '신뢰할 수 있는가'를 보게 됩니다. 말투, 눈빛, 태도, 설명 방식 모두가 투자자의 결정에 영향을 줍니다. "이 창업자는 계획한 내용을 실행할 수 있을까?" "힘든 상황에서도 팀을 이끌고 극복할 수 있는 사람일까?" 이 판단을 도와주는 게 바로 창업자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입니다.
· 스토리텔링은 '경쟁력'이 될 수 있습니다 비슷한 아이템, 비슷한 단계의 스타트업이 여럿 있다면, 결국 투자자의 마음을 움직이는 건 스토리의 힘입니다. 좋은 스토리는 기억에 남고, 투자자의 판단에 긍정적인 요소로 작용합니다.
|
|
|
이상 2회에 걸쳐 투자유치에 성공한 스타트업의 7가지 공통점에 대해서 소개해 드렸습니다. 만약 투자유치를 준비하고 계시다면 7가지 요소에 대해서 부족한 점은 무엇인지, 개선시킬 방안은 무엇인지 부터 확인하는 것이 어떨까 합니다. |
|
|
스타트업 CEO를 대상으로 GX (Group eXecution) 세션이 매주 진행되고 있습니다.
어떤 내용이 진행되고 있는지, 살짝 공개합니다. |
|
|
인사이트
· 기업별 스프린트 프로젝트 리뷰
· 사업의 시스템화
|
케이스 스터디
신규 상장기업 : (주)동방메디컬 |
|
|
OO 안** 대표
심상화를 하면서 25년 연말에 원하는것을 이룬 모습을 상상해봤습니다 그때의 감정이 벅차올라서 그렇게 될 수 있게 더 열심히 해야겠다고 생각합니다. |
|
|
OO디자인 한** 대표
대표님께서 해주신 "현재를 버티면서 미래를 준비하자"는 이 말씀이 어느 지식 보다 지혜 보다 현실적으로 와 닿고 고난을 이겨낼 힘이 되어주는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
|
씨앤OO 임** 대표
내가 변해야 회사도 변한다. 창업 9년차지만 새롭게 다시 비즈니스 모델을 재정립하여 다시 도전해야하는 창업자의 느낌 초심으로 돌아가자. 현실에 안주하지 말고 현재 회사 상황에 맞게 비즈니스 모델을 재정립하여 다시 새롭게 도전하자. |
|
|
블루OOO 임** 대표
내 제품을 과연 고객이 원하는 것인가, 내가 원하는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더 철저하게 해야겠습니다.
회사의 제품개발이나 광고 등 모든 서비스에서 5단계 법칙을 적용해서 질문하는 과정을 거칠것입니다. |
|
|
(주)알토란벤처스 admin@altoranventures.com | 02-563-0983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516, 2층(대치동, 정헌빌딩)
스타트업 CEO를 위한 이메일 코칭 그만 받기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