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유치에 성공한 스타트업들의 공통점은 몇 가지 핵심 요소로 정리할 수 있습니다. 단순히 ‘좋은 아이디어’만
성공은 하루아침에 이루어지지 않는다. 매일 조금씩 이루어지는 것이다.
- 조르주 쿠르티네 -
|
|
|
본 내용은 알토란벤처스의 CEO를 위한 GX세션 내용 중 일부를 요약한 내용입니다. |
|
|
투자 유치에 성공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좋은 아이디어’, '뛰어난 기술'만으로는 부족합니다. 투자자들이 실제로 중요하게 보는 부분들이 있습니다. 투자유치에 성공한 스타트업의 공통점을 살펴보면, 투자자들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유추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오늘은 투자유치에 성공한 7가지 공통점 중 4가지에 대해 소개합니다.
|
|
|
- 투자 유치에 성공한 스타트업의 7가지 공통점 -
🚀 창업자의 집중력과 실행력. 🚀 분명한 문제 인식과 구체적인 고객 세그먼트. 🚀 시장에 대한 이해.
🚀 초기 성과(초기 지표나 고객 반응).
🚀 다음 주에 이어집니다.
🚀 다음 주에 이어집니다.
🚀 다음 주에 이어집니다.
|
|
|
투자유치에 성공한 스타트업의 창업자는 대부분 '집중력'과 '실행력'을 갖고 있다고 인정받는 경우가 많습니다.
창업자의 집중력과 실행력은 스타트업의 ‘성공 가능성’을 가장 크게 좌우하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특히 스타트업의 초기 단계에서는 ‘아이템’보다도 사람(창업자)의 역량과 태도에 더 많은 비중이 실리게 됩니다.
그 이유는 초기 스타트업은 불확실성이 높기 때문입니다. 시장도 모호하고, 고객도 명확하지 않고, 제품도 완성되지 않은 단계입니다.
이 불확실함 속에서 방향을 잡고 문제를 풀어내는 것이 바로 '창업자의 집중력과 실행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에 대해서 얼마나 깊게 생각하였는지, 생각한 바를 어떻게 실행하고 있는 지'를 투자자들은 궁금해합니다.
창업자에게 집중력과 실행력 있어야 시장 반응을 빠르게 캐치하고, 고객을 이해하고, 방향을 잡고, 팀을 이끌며, 결국 ‘성장’이라는 결과를 만들 수 있습니다.
|
|
|
🚀 “분명한 문제 인식과 구체적인 고객 세그먼트”
|
|
|
스타트업에서 문제 인식이 분명하고, 고객 세그먼트가 구체적이야 하는 이유는 단순히 사업 계획을 깔끔하게 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살아남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핵심 전략이기 때문입니다.
해결할 ‘문제’가 불분명하면, 제품도 애매하고, 고객도 애매하고, 피드백도 애매해집니다. 문제를 정확히 이해해야 제품 방향, 메시지, 고객 커뮤니케이션이 명확질 수 있습니다.
또한 '누구를 위한 아이템'인지 불분명하다면, 어떤 제품을 만들어야 할지 모르게 될 수 있으며, 누구를 대상으로 마케팅을 해야되는 지 알 수 없게 되어 시간과 비용의 낭비가 생길 수 있습니다.
“AI를 활용한 건강 모니터링 솔루션입니다” 라는 것 보다는 “AI를 활용한 호흡 데이터 분석을 통해, 30~50대의 건강을 모니터링하는 솔루션”이라고 하는 스타트업이 투자유치에 성공하고 있습니다.
|
|
|
스타트업이 투자유치를 할 때, 투자자들로 항상 받는 질문이 있습니다. “이 시장, 진짜 있는 시장인가요?”, “이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나요?” 이처럼 시장에 대한 이해는 단순한 배경 설명이 아니라, 투자 유치에서 신뢰를 얻기 위한 핵심 근거입니다.
아무리 뛰어난 기술과 아이디어도, 수요가 없는 시장에서는 ‘사업’이 될 수 없습니다. 투자자는 “이 시장에서 돈을 벌 수 있는가?”를 봅니다. 시장이 작거나 죽어 있으면, 투자자는 외면하게 됩니다.
또한 시장 규모는 성장성과 '투자회수(엑시트)'의 근거가 됩니다. 투자자는 결국 투자를 통한 수익을 내야 하므로, 시장의 크기와 성장 가능성을 가장 민감하게 보게 됩니다. 시장의 규모가 수백억원 단위라면 너무 작다고 판단하게 됩니다.
그리고 스타트업의 생존과 지속성을 알아볼 수 있는 경쟁사 분석, 고객 니즈 파악, 틈새 시장 찾기 등의 차별화된 전략은, 단순 창의력이 아니라 시장에 대한 깊은 탐구에서 나옵니다.
자신들이 뛰어들 시장에 대한 성찰과 이해를 갖고 있는 스타트업이 투자자들의 선택을 받고 있습니다.
|
|
|
투자자로 부터 "성과가 나면 투자하겠습니다."라는 말을 많이 들어 보셨을 것입니다. 스타트업이 투자 유치를 할 때, 특히 시드~시리즈 A 초기 단계에서는 초기 성과(고객 반응, 지표)가 매우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되기 때문입니다.
아무리 훌륭한 아이디어와 기술이 있어도, '실제 고객이 반응한 팩트'가 있느냐가 훨씬 설득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투자자는 '이 사업이 현실에서 통할 가능성'을 판단해야 하므로, 그 힌트를 초기 성과에서 찾습니다. '아직 완벽하진 않아도, 뭔가 맞아 들어가는 느낌', 투자자는 바로 이런 지표를 찾고 있습니다
투자유치에 성공한 스타트업은 대부분 이런 성과지표(사용자 재방문율, 사용 시간 증가, 유료 전환율, 입소문/추천율, 재구매율 등)를 가지고 있습니다.
더구나 초기 성과가 있다는 건, 문제 정의 → MVP 제작 → 사용자 반응까지 한 사이클을 실행한 것입니다. 즉, 앞서 언급한 창업자의 집중력, 실행력, 시장이해도가 입증된 셈이기에, “이 회사는 계획만 있는 것이 아니라, 실행하고 검증해내고 있구나”라고 평가됩니다.
투자자는 이런 스타트업에 투자하고 있습니다.
|
|
|
어떤 스타트업이 투자를 받고 있는 지 알게된다면, 어떤 준비를 해야 투자를 받을 수 있을 지 알게될 것입니다.
나머지 3가지 공통점에 대해서는 다음 주에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
|
스타트업 CEO를 대상으로 GX (Group eXecution) 세션이 매주 진행되고 있습니다.
어떤 내용이 진행되고 있는지, 살짝 공개합니다. |
|
|
인사이트
· 스프린트 프로젝트 리뷰
· 계획 쪼개기, 확언, 멀티 포커스
|
케이스 스터디
신규 상장기업 : (주)아이에스티이 |
|
|
OO 안** 대표
심상화를 하면서 25년 연말에 원하는것을 이룬 모습을 상상해봤습니다 그때의 감정이 벅차올라서 그렇게 될 수 있게 더 열심히 해야겠다고 생각합니다. |
|
|
OO디자인 한** 대표
대표님께서 해주신 "현재를 버티면서 미래를 준비하자"는 이 말씀이 어느 지식 보다 지혜 보다 현실적으로 와 닿고 고난을 이겨낼 힘이 되어주는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
|
씨앤OO 임** 대표
내가 변해야 회사도 변한다. 창업 9년차지만 새롭게 다시 비즈니스 모델을 재정립하여 다시 도전해야하는 창업자의 느낌 초심으로 돌아가자. 현실에 안주하지 말고 현재 회사 상황에 맞게 비즈니스 모델을 재정립하여 다시 새롭게 도전하자. |
|
|
블루OOO 임** 대표
내 제품을 과연 고객이 원하는 것인가, 내가 원하는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더 철저하게 해야겠습니다.
회사의 제품개발이나 광고 등 모든 서비스에서 5단계 법칙을 적용해서 질문하는 과정을 거칠것입니다. |
|
|
(주)알토란벤처스 admin@altoranventures.com | 02-563-0983
서울특별시 강남구 테헤란로516, 2층(대치동, 정헌빌딩)
스타트업 CEO를 위한 이메일 코칭 그만 받기 |
|
|
|
|